반응형

이미용 프랜차이즈 브랜드 매출 순위를 알아보자

순위 기준은 전국 이미용 프랜차이즈 브랜드 가맹점 평균 매출을 집계해

평균 매출 보다 높은 브랜드 순위로 정리했다.  기준 연도는 2022년이다.

 

프랜차이즈파트너스(http://fcpartners.co.kr) 에서

연도별 가맹점 증가/감소 및 가맹해지, 지역별 가맹점 평균 매출 등의 정보를 참고하면
브랜드의
대략적인 상황은 추정 가능할 것이다.

 

그럼 프랜차이즈 매출 순위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매출 상위 브랜드는 차홍룸(Chahongroom), 리챠드프로헤어, 준오헤어, 아이벨르, 아이디헤어, 마끼에, 제니하우스(jennyhouse), 쌤시크, 꾸아퍼스트, 이경민포레, 쟈끄데상쥬, 아우라제이미용실, 베이바이허슬기, 고정현헤어, 마드모아젤, 에이블메디스킨, 약손명가, 순수, 여리한다이어트, 이쁘다헤어, 찰스리헤어테크, 달리아스파(DALIA SPA), 펠리아 뷰티살롱, 프랑크프로보, 박승철헤어스투디오, 가인미가, 유키니언,아이벨르팜므(I Belle Femme), 로이드밤, XEO HAIR(제오헤어), 키웰(KEYWELL), 이가자헤어비스, 사틴헤어, 에이바헤어, 결이고은 에스테틱, 오테르, 보그 (VOG), 장루이다비드(Jean Louis David), 이철헤어커커, 헤어12.5, 어쌤, 오다헤어, 헤어웨이, 반디인하우스 이다.

no 브랜드명 사업연도 가맹점 수 브랜드 평균 매출
(단위: 천 원)
부담금
(단위: 천 원)
1 차홍룸(Chahongroom) 2017 20 1,907,757 353,000
2 리챠드프로헤어 2010 25 1,785,445 747,650
3 준오헤어 2003 163 1,312,759 388,000
4 아이벨르 2002 2 1,218,182 232,750
5 아이디헤어 2006 75 1,193,620 345,300
6 마끼에 2013 18 1,101,550 220,200
7 제니하우스(jennyhouse) 2013 2 966,108 256,500
8 쌤시크 2020 12 919,861 334,500
9 꾸아퍼스트 2011 8 841,591 231,700
10 이경민포레 2007 9 836,395 275,200
11 쟈끄데상쥬 1993 9 777,778 232,750
12 아우라제이미용실 2015 4 775,000 128,400
13 베이바이허슬기 2020 6 722,645 198,000
14 고정현헤어 2013 19 713,550 305,000
15 마드모아젤 2021 2 713,378 121,790
16 에이블메디스킨 2021 3 700,220 84,370
17 약손명가 2017 115 697,562 201,050
18 순수 2018 8 689,302 291,700
19 여리한다이어트 2021 14 670,421 377,000
20 이쁘다헤어 2020 16 554,949 92,400
21 찰스리헤어테크 2020 26 549,179 238,900
22 달리아스파(DALIA SPA) 2021 11 468,123 183,800
23 펠리아 뷰티살롱 2010 14 461,495 172,900
24 프랑크프로보 2006 6 456,258 207,170
25 박승철헤어스투디오 1997 205 448,018 194,900
26 가인미가 2012 13 441,901 16,500
27 유키니언 2018 10 436,511 111,100
28 아이벨르팜므(I Belle Femme) 2014 15 427,879 144,250
29 로이드밤 2014 210 422,412 136,400
30 XEO HAIR(제오헤어) 2002 59 421,951 166,470
31 키웰(KEYWELL) 2011 6 416,243 144,700
32 이가자헤어비스 1995 120 410,357 169,600
33 사틴헤어 2008 9 409,730 182,100
34 에이바헤어 2021 111 405,762 81,400
35 결이고은 에스테틱 2020 24 400,803 100,250
36 오테르 2016 8 399,725 146,960
37 보그 (VOG) 2013 63 387,481 99,200
38 장루이다비드(Jean Louis David) 2013 12 373,205 288,400
39 이철헤어커커 1999 168 367,325 194,900
40 헤어12.5 2012 13 354,851 90,590
41 어쌤 2021 2 353,000 167,305
42 오다헤어 2008 32 351,983 101,800
43 헤어웨이 2018 3 347,083 127,100
44 반디인하우스 2020 17 340,445 90,272

 

이전 연도 매출 상위 브랜드 비교

반응형
   
반응형

이번 프랜차이즈창업정보는 박승철헤어스투디오 창업 정보입니다.
미용실 창업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박승철 헤어스투디오는


1. No. 1 Brand
2. Industry Leader
3. Superior Technique
4. Social Responsiblility
5. Passion for Beauty

이렇게 5가지의 브랜드 소개를 하고 있습니다.

박승철헤어스투디오는



2014년 17개의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창업하였고 13개의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폐점하여





2014년 239개의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4개의 직영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박승철헤어스투디오의 지역별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서울, 경기 중심으로 전국 가맹점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별 프랜차이즈 가맹점 평균매출은 다음과 같습니다.


박승철헤어스투디오의 전국 가맹점 평균매출은 약 5.1억원 입니다.
전국 평균 매출 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부산, 광주, 경기 지역입니다.


박승철헤어스투디오의 성공 노하우는

단일화된 전국 체인망
- 전국매장 경영분석 관리를 통한 연간 매출분석
- 전국 매장을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체계적인 인사 관리와 인적 네트워크
- 미용 허가 및 등록, 체인점 오픈과 관련된 행정 등 제반 업무 전반에 대한 지원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교육과 다양하고 전문적인 커리큘럼
- 인성 및 서비스 교육/ 디자이너별 승급제도 시행
- 해외 테크닉 연수 지원,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한 재투자 원칙 실천

전문성과 차별성
- 본사로부터 지원되는 전문 경영 및 관리시스템으로 비 미용인도 안정적 경영 가능
- 매출관리, 회계관리, 경영분석과 대응 전략수립 등 외부전문가집단의 대행 및 자문

독창성과 효율성
- 수년간의 체인 사업을 통해 다져진 브랜드 인지도와 독창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 기자재를 비롯한 미용 제품의 자체 개발 및 전문 컬렉션
- 감각적 인테리어와 효율적 공간 활용

통합 커뮤니케이션
- 독자적인CRM솔류션을 활용한 효과적인 고객 관리와 그랜드 로열티 강화
- 소비자구성과 구매패턴,시장환경분석 및 리서치를 통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기획
- 전문인력에 의한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기업 홍보 및 전략적 제휴
- 다양한 사회사업과 문화사업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관리


박승철헤어스투디오의 가맹 개설은
중심상권의 2층 이하의 전용면적 165.29m2 (50평) 이상의 매장을 운영중이거나 운영가능하신 분 (쇼핑몰 제외)이 가능하며
창업비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인테리어 및 가맹 상담은 본사와 협의 후 진행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자료참고
박승철헤어스투디오: https://www.pschair.co.kr
프랜차이즈파트너스: http://www.fcpartners.co.kr

반응형
   
반응형

웰킨두피탈모센터는 두피, 탈모케어 프랜차이즈로 법인인 코비스타의 브랜드입니다.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14년 42개의 프랜차이즈가맹점과 3개의 직영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14년 1개의 프랜차이즈가맹점이 창업 하였고 2개의 프랜차이즈가맹점이 폐점하였습니다.


웰킨의 경쟁력은 3가지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프랜차이즈 창업은 최초 2년계약이며 이후 2년마다 계약연장을 하고 있습니다.
또 최소창업 비용은 약 2억원정도 되며 상품의 종류와 평수에 따라 금액이 변동됩니다.




다음은 지역별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입니다.



웰킨의 가맹점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부산, 경기지역입니다.


다음은 지역별 프랜차이즈 가맹점 평균매출입니다.


14년 웰킨은 업종 평균매출보다는 높으며 웰킨전국평균매출 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지역입니다.

 

출처:
웰킨: https://www.wellkin.co.kr
프랜차이즈파트너스: http://www.fcpartners.co.kr

반응형
   
반응형

그럼 오늘은 뷰티, 스파, 맛사지 프랜차이즈 업종의 신규 개점 순위를 알아 보겠습니다.

2014년 기준으로 뷰티,스파, 맛사지 가맹점은 1160개의 가맹점이 있으며 318개의 직영점이 있습니다.
뷰티, 스파, 맛사지 프랜차이즈 업종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0.6%정도 됩니다.

뷰티,스파, 맛사지 프랜차이즈는 14년 195개의 가맹점이 신규오픈 하였고 208개의 가맹점이 문을 닫았습니다.
13년도와 비교하면 가맹점 수가 1.6% 줄어든 수치이며 폐점율이 약 16.5%정도 되니다.

그럼 지역별 가맹점 수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가맹점이 50개 이상의 지역은 서울, 부산, 인천, 경기, 경남입니다.


지역별 평균 매출을 보겠습니다.

지역평균매출이 높은 지역은 매장 수가 많은 대전지역입니다.


다음으로 신규 가맹점 유치를 많이 한 업체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순위로는
1. 미궁삼육오좌훈카페: 23개, 2. 골든네일: 20개, 3. 포쉬네일: 14개,
4. 닥터수: 13개, 5. 끌리메: 12개, 6. 메리앤지: 9개,
7. 네일블룸: 9개, 8. 유니에스테틱: 8개, 9. 신진쑥뜸: 7개, 10. 작은얼굴인약손명가: 6개

'미궁삼육오좌훈카페'가 가맹점 유치를 제일 많이 하였습니다.

 

미궁삼육오좌훈카페 프랜차이즈는 14년 23개의 가맹점을 유치하여 54개의 가맹점과 직영점 1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3년에 비해서는 1개의 매장이 더 늘었습니다.

14년도 매출은 약 16억으로 전연도에 비하여 약 13% 성장하였습니다.
약 4.5억원의 총자산 중 약 1.1억원의 총부채가 있습니다.

계약은 최초계약이 1년 연장이 1년입니다.
지역별 가맹점, 매출은 기재가 되어 있지 않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랜만에 만난 친구들과 술 한 잔 한다고 좀 늦었습니다.

그럼 오늘은 미용실 업종의 신규 개점 순위를 알아 보겠습니다.

2014년 기준으로 화장품업종의 가맹점은 2402개의 가맹점이 있으며 48개의 직영점이 있습니다.
화장품 업종은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약 1.9%정도의 시장을 형성 있으며 직영점 비중은 가맹점에 비해 미미한 수준입니다.

미용실 프랜차이즈는 14년 449개의 매장이 신규오픈 하였고 215개의 매장이 문을 닫았습니다.
이는 13년에 대비 신규 가맹점 약 16%로 줄었고, 폐점 혹은 가맹 해지 된 가맹점 또한 약 1.8% 줄어 들었습니다.
이는 미용실 프랜차이즈의 관심이 조금 식었다고 볼 수 있으며, 동종업체들과의 경쟁에서 메김을 한 업체들만이
이제 시장을 나눠먹고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물론 차별화한 신생브랜드의 도전은 계속 될 겁니다.)


그럼 지역별 가맹점 수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가맹점 수가 200개 이상 되는 지역은 서울과 경기지역입니다.
부산이 100개를 살짝 넘겼습니다.
미용실은 자영업으로 하는 경우도 많아 전체로 봤을 때는 훨씬 많으리라 생각됩니다.


지역별 평균 매출을 보겠습니다.


서울, 부산, 인천, 경기, 경남지역이 연평균 매출이 4억대를 넘기네요.
미용실은 꾸준한 수요가 있으니 역시 인구가 많은 지역이 유리 한 듯 합니다.
또 가격인상의 요인도 있고, 단골확보가 되면 특별한 사고만 없다면 충성고객이 높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물론 전문성 있는 인력에 대한 인건비와 임대료, 재료비 등은 감안 해야 할 거 같습니다.
미용실 같은 경우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 접근하기는 힘들겠죠.


다음으로 신규 가맹점 유치를 많이 한 업체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No

영업표지

신규개점 수

명의변경 수

계약해지 수

계약종료 수

1

리안

70

7

13

0

2

오땡큐

60

8

0

25

3

에이치스타일

45

0

11

0

4

이철헤어커커

28

0

12

0

5

토리헤어(TORY HAIR)

23

6

0

0

6

구피샵

21

11

0

4

7

박승철헤어스투디오

17

13

0

13

8

제오헤어

17

0

0

3

9

이가자헤어비스

15

0

2

16

10

레드헤어 쿨

14

0

0

0


순위로는
1. 리안: 70개, 2. 오땡큐: 60개, 3. 에이치스타일: 45개,
4. 이철헤어커커: 28개, 5. 토리헤어(TORY HAIR): 23개, 6. 구피샵: 21개,
7. 박승철헤어스투디오: 17개, 8. 제오헤어: 17개, 9. 이가자헤어비스: 15개,
10. 레드헤어 쿨: 14개

리안이 가맹점 유치를 제일 많이 하였네요.



1위를 한 리안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려고 하였는데 정보공개서의 Data가 본사매출 외에는 없습니다.
그래도 일단1등을 하였으니 기본 정보만 작성 하겠습니다.

본사의 매출 13년도 25억원에서 14년 31억원 13년도와 비교하여 약 25% 성장하였습니다.
영업이익 또한 13년 1억9천에서 14년 4억2천만원, 약 115% 영업이익이 발생 하였습니다.

14년 70개의 신규매장이 오픈 하였고
13개의 매장이 계약해지를 하였고 7개의 매장이 명의변경(주인이 바뀜)이 있었습니다
계약종료는 12,13,14년동안 없었습니다.

14년 가맹점 수는 297개로 13년 237개와 비교하여 24%로 늘었습니다.

지역별 매출은 집계는 아직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보공개서 전문
"당사의 가맹점사업자 한 명이 2014년에 올린 매출액은 해당 서비스 업종의 특성상 각 매장의
할인 정도가 다르고 현금비중도 높아 협조를 얻을 수 없고, 당사가 가맹점에 공급한 물품 또한
개점초기 초도물품을 제외하면 매출과 관련된 염모제, 샴푸류 등은 미용제품 전문업체를 통해
가맹점이 직접 거래하고 있어 일반적인 방법(POS데이터 자료, 가맹점에 공급하는 물품으로
가맹점의 매출액을 역산)으로 매출을 추정하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2014년 가맹점사업자
한 명이 올린 매출액을 산정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없어 정보공개서에 해당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차후 매출액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마련되면, 정보공개서를 즉시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

빠른 시일내에 매출액을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기를 기대해봅니다.

물론 2등 3등인 오땡큐, 에이치스타일 또한 근거자료가 없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