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럼 오늘은 뷰티, 스파, 맛사지 프랜차이즈 업종의 신규 개점 순위를 알아 보겠습니다.

2014년 기준으로 뷰티,스파, 맛사지 가맹점은 1160개의 가맹점이 있으며 318개의 직영점이 있습니다.
뷰티, 스파, 맛사지 프랜차이즈 업종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0.6%정도 됩니다.

뷰티,스파, 맛사지 프랜차이즈는 14년 195개의 가맹점이 신규오픈 하였고 208개의 가맹점이 문을 닫았습니다.
13년도와 비교하면 가맹점 수가 1.6% 줄어든 수치이며 폐점율이 약 16.5%정도 되니다.

그럼 지역별 가맹점 수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가맹점이 50개 이상의 지역은 서울, 부산, 인천, 경기, 경남입니다.


지역별 평균 매출을 보겠습니다.

지역평균매출이 높은 지역은 매장 수가 많은 대전지역입니다.


다음으로 신규 가맹점 유치를 많이 한 업체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순위로는
1. 미궁삼육오좌훈카페: 23개, 2. 골든네일: 20개, 3. 포쉬네일: 14개,
4. 닥터수: 13개, 5. 끌리메: 12개, 6. 메리앤지: 9개,
7. 네일블룸: 9개, 8. 유니에스테틱: 8개, 9. 신진쑥뜸: 7개, 10. 작은얼굴인약손명가: 6개

'미궁삼육오좌훈카페'가 가맹점 유치를 제일 많이 하였습니다.

 

미궁삼육오좌훈카페 프랜차이즈는 14년 23개의 가맹점을 유치하여 54개의 가맹점과 직영점 1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3년에 비해서는 1개의 매장이 더 늘었습니다.

14년도 매출은 약 16억으로 전연도에 비하여 약 13% 성장하였습니다.
약 4.5억원의 총자산 중 약 1.1억원의 총부채가 있습니다.

계약은 최초계약이 1년 연장이 1년입니다.
지역별 가맹점, 매출은 기재가 되어 있지 않아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주류, 주점 프랜차이즈창업 순위 중 '용구비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주류, 주점 프랜차이즈창업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순위로는
1. 압구정봉구비어: 194개 (휴먼인트리㈜), 2. 압구정봉구비어: 150개 (㈜한경기획) 3. 청담동말자싸롱: 133개,

4. 용구비어: 109개, 5. 오춘자비어: 83개, 6. 옥탑방오봉자싸롱: 73개,
7. 달려라 봉쥬비어: 58개, 8. 최군맥주: 52개, 9. 상구비어: 50개, 10. 비턴: 48개





'용구비어'는 '와이비에프씨'의 브랜드로 2013년 2월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을 시작하여
14년 109개의 가맹점을 신규오픈 하여 162개의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5개의 가맹점이 폐점하여 폐점율 약3% 정도 됩니다.


용구비어는 14년 약49억원의 매출과 약 2.9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였습니다.
13년도와 비교하면 매출이 137% 성장하였습니다.
그리고 약 10억원의 총자산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약3.8억원의 부채가 있습니다.
부채는 13년도에 비하여 약 30% 정도 줄었습니다.

광고비
약 1.5억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최초 프랜차이즈 가맹계약은 2년이며 이후 1년마다 계약연장 됩니다.
가맹사업자의 부담금은 약 670만이며 이중 가맹비 550만원과 220만원의 교육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월 22만원의 로열티가 있습니다.

 

그럼 지역별 가맹점 수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가맹점이 20개 이상인 지역은 서울, 경기지역입니다.

 

지역별 매출평균을 확인 해보겠습니다.

용구비어의 전국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인천, 울산, 경기, 전남지역입니다.
업종평균매출보다는 조금 낮습니다.

* 매출이 0은 0원이 아니라 집계가 되지 않은 것이며 임대료, 인건비등이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데이터는 공정거래위원회의 2014년 정보공개서 기반으로 작성하였고
누락이 있을 수 있어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커피, 디저트 프랜차이즈 창업인기 순위 중 10위를 한 드롭탑(DROPTOP)을 알아보겠습니다.

프랜차이즈창업자를 위해 도움이 되고자 작성한 글이며 최대한 객관적 사실을 기준으로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데이터는 공정거래위원회의 2014년 정보공개서 기반으로 작성하였고 누락이 있을 수 있어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커피, 디저트 프랜차이즈 인기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순위로는
1. 이디야커피: 389개, 2. 요거프레소: 233개, 3. 커피베이: 180개,
4. 투썸플레이스: 149개, 5. 공차: 131개, 6. 엔제리너스(Angel-in-us Coffee): 110개,
7. 커피에반하다: 94개, 8. 카페베네: 89개, 9. 투더디프런트(TOTHEDIFFERENT): 82개,
10. 드롭탑(DROPTOP): 66개 순입니다.

 

 

'드롭탑(DROPTOP)'은 '다도글로벌'의 브랜드로 2011년 8월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을 시작하여
14년 66개의 가맹점을 신규오픈 하여 187개의 가맹점10개의 직영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15개의 가맹점이 폐점(7.4%)하였습니다.

드롭탑(Droptop)은 "최고의 장소에서 최상의 커피를 즐긴다"는 컨셉으로 탄생되었다고 합니다.
디자인컨셉도 홈페이지에 소개되어 있는데
Factroy, Modern, Vintage 3가지 컨셉으로 인테리어가 되어 있다고 하네요.

드롭탑은 14년 약369억원의 매출과 약 11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였습니다.
13년도에 비해 3.5% 성장한 수치입니다.
또 약 172억원의 총자산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약164억원의 부채가 있습니다.
부채 또한 13년도에 비하여 7.5% 늘었습니다.

광고비
약 18.9억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최초 프랜차이즈 가맹계약은 3년이며 이후 1년마다 계약연장 됩니다.
가맹사업자의 부담금은 약 2.6억원이며 이중 가맹비 1100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가맹비에 교육비가 포함이 되어 별도의 최초 교육비는 없습니다.
월 매출의 3%의 로열티가 있습니다.

 

그럼 지역별 가맹점 수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가맹점이 20개 이상인 지역은 광주, 전남, 경기지역입니다.

 

지역별 매출평균을 확인 해보겠습니다.

드롭탑은 전국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대구, 인천, 광주, 경기, 충남, 전남지역입니다.
드롭탑의 전국 평균매출은 업종의 평균매출보다 1.9배 높습니다.

* 매출이 0은 0원이 아니라 집계가 되지 않은 것이며 임대료, 인건비등이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프랜차이즈를 준비하시는 예비창업자 분들은 이런 점을 고려하여 신중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도시락,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창업인기 순위 중 3위를 한 '롯데리아'를 알아보겠습니다.

프랜차이즈창업자를 위해 도움이 되고자 작성한 글이며 최대한 객관적 사실을 기준으로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데이터는 공정거래위원회의 2014년 정보공개서 기반으로 작성하였고 누락이 있을 수 있어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도시락, 패스트푸드의 프랜차이즈 인기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순위로는
1. 봉구스밥버거: 292개, 2. 뉴욕핫도그앤커피: 219개, 3. 롯데리아: 108개,
4. 이삭토스트: 46개, 5. 서브웨이: 45개, 6. 한솥: 45개,
7. 맥도날드: 39개, 8. 버거킹(Burger King): 35개, 9. 케이에프씨(KFC): 33개,
10. 본도시락: 28개순위입니다.

 

 

'롯데리아'는 1979년 소공점을 시작으로 국내최초로 서양외식 사업을 도입.
1980년 7월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을 시작하여
14년 108개의 매장을 신규오픈 하여 1131개의 가맹점130개의 직영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12개의 가맹점이 문을 닫아 폐점율이 약 1%정도 됩니다.

롯데리아는 14년 약9870억원의 매출과 약 416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였습니다.
약 9055억원의 총자산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약3093억원의 부채가 있습니다.
광고비
약 209억원과 판촉비 64억원을 지출 하였습니다.

최초 프랜차이즈 가맹계약은 5년이며 이후 5년마다 계약연장 됩니다.
가맹사업자의 부담금은 약 4억원이 조금 안되며
이중 가맹비 1650 만원과 교육비 66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럼 지역별 가맹점 수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가맹점이 50개가 넘는 지역은 경기, 서울, 경남, 부산, 인천, 대구, 충남, 대전 지역입니다.

 

지역별 매출평균을 확인 해보겠습니다.

롯데리아 전국평균매출 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광주, 경기, 인천 지역입니다.

수익부분은 재료공급부분에 따른 마진율과 인건비(아르바이트)를 확인 해봐야 합니다.
인건비는 매출에 따라 아르바이트 인력구성이 지정되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이미 롯데리아는
'생계형창업'보다 '재테크형창업'쪽이 더 가깝지 않을까 싶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커피, 디저트 프랜차이즈 창업인기 순위 중
9위를 한 '투더디프런트(TOTHEDIFFERENT)'를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은 프랜차이즈창업자를 위해 도움이 되고자 작성한 글이며
최대한 객관적 사실을 기준으로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데이터는 공정거래위원회의 2014년 정보공개서 기반으로 작성하였고
누락이 있을 수 있어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커피, 디저트 프랜차이즈 인기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순위로는
1. 이디야커피: 389개, 2. 요거프레소: 233개, 3. 커피베이: 180개,
4. 투썸플레이스: 149개, 5. 공차: 131개, 6. 엔제리너스(Angel-in-us Coffee): 110개,
7. 커피에반하다: 94개, 8. 카페베네: 89개, 9. 투더디프런트(TOTHEDIFFERENT): 82개,
10. 드롭탑(DROPTOP): 66개 순입니다.


 

'투더디프런트'는 2014년 4월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을 시작하여
14년 82개의 매장을 신규오픈 하였습니다.

투더디프런트는 디저트카페로 홈페이지의 브랜드소개를 보면
"문화를 담아낸 디저트", "이 세상 가망 맛있는 디저트를 한곳에","당신만을 위한 공간(최상의 행복)"
이 세 가지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사실, 브랜드 소개에서 설명이 너무 길어 의미 전달이 좀 아쉬웠습니다.
나만 그런지 모르지만 조금 간결히 브랜드의 감성을 담은 글이었으면 하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투더디프런트 14년 약220억원의 매출과 약 75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였습니다.
약 117억원의 총자산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약53억원의 부채가 있습니다.
광고비
약 3.7억원을 집행하였으며 이는 업종평균치와 비슷한 수치입니다.

최초 프랜차이즈 가맹계약은 3년이며 이후 1년마다 계약연장 됩니다.

가맹사업자의 부담금은
2.86억원이며 이중 가맹비 5500 만원과 교육비 1100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매달 월 매출의 3.5%의 로열티가 있습니다.

 

그럼 지역별 가맹점 수를 확인 해보겠습니다.

10개 이상되는 가맹점이 있는 지역은 부산, 경남, 경기지역입니다.

 

지역별 매출평균을 확인 해보겠습니다.

투더디프런트의 전국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서울, 경기지역입니다.

전국평균은 약 3.9억원으로 서울지역과 경기지역 10억~ 13억매장을 제외 한다면
대략 3억원 초중반의 평균매출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노력과 운에 따라 매출이 높을 수 있습니다.)

디저트류가 판매 됨에 따라 물품공급액에 따른 마진율이 얼마인지에 따라
가맹점주의 수익이 결정 될 듯 합니다.

ps. 매출이 0은 0원이 아니라 집계가 되지 않은 것입니다.
과거의 자료로 미래를 수익을 확정지을 수 없으며 매장의 크기에 따라 투자비용이 다르고 임대료, 인건비등이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프랜차이즈를 준비하시는 예비창업자 분들은 이런 점을 고려하여 신중한 판단을 하시기 바랍니다.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