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논리적으로 좀 잘쓰고 싶었다.
바바라 민토의 논리적 글쓰기를 먼저 읽고 이후 읽은 책이다.
초보자를 위한 충고
- 글을 쓰기 전에 먼저 생각을 정리하라.
- 도입부를 쓸 때는 상황에서부터 시작하라
- 도입부를 구상하는 절차를 생략하지 마라
- 과거의 사건은 항상 도입부에 적어라.
- 도입부에는 독자가 사실이라고 인정하는 내용만 담아라.
- 선택할 수 있다면 핵심단계에서는 연역법보다 귀납법을 사용하라.
구조
기본구조 |
표준형 |
직접형 |
개념형 |
적극형 |
상황-전개-질문 -답변 |
상황-전개-해결 |
해결-상황-전개 |
전개-상황-해결 |
질문-상황-전개 |
도입부 작성요령
- 도입부는 정보를 전달하기보다는 상기시켜야 한다.
- 내용의 타당성을 설득하는 글, 그림, 표는 금물
- 도입부는 항상 스토리의 세가지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 '상황-전개-해결' 순서는 바뀔 수 있지만 스토리 형식으로 전개 되어야 함.
- 도입부의 길이는 독자의 필요도와 문서의 주제에 따라 다르다
문서도입부 유형
실제 문서에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작성이 대부분이다.
지시하기
상황: 우리는 X를 하고 싶다.
전개: 당신이 Y를 해주면 좋겠다.
질문: (Y를 어떻게 할 것인가?) // 지시는 자세한 설명보다 암시하는 것이 좋다.
지출승인 요구하기
상황: 우리에게 문제가 생겼다.
전개: 우리는 해결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거기에는 ㅇㅇ달러가 소요된다.
질문: (나는 이 요구를 승인해야 하는가?)
일반적인 승인을 요청할 때 몇 가지 이유를 붙인다.
- 문제를 해결 할 시간이 부족하다. (시간단축)
- 이번 조치로 문제가 해결이 된다. (차선도 있지만 최선이다)
- 필요한 지출은 비용절감 효과를 통해 충분히 상쇄된다. (비용절감)
- 이 외에도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해결방법 설명하기
상황: X를 실행해야 한다.
전개: 이를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않다
질문: 그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가?
대안 결정하기
상황: 우리는 X를 하고 싶다
전개: 그것을 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을 가지고 있다.
질문: 어떤 대안이 가장 적절 한가?
컨설팅 문서의 도입부 유형
1.제안서
상황: 당신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전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삼자를 영입하기로 결정 했다.
질문: (우리는 당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용해야 할 제 삼자인가?)
답변유형:
1.우리는 문제를 이해 하고 있다.
2.우리는 문제해결에 적합한 접근법을 가지고 있다.
3.우리는 이 접근법을 적용한 충분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4.우리의 가격조건은 납득할 만하다.
2.진행상황보고서
상황: 우리는 X라는 문제에 대해 작업하고 있다.
전개: 우리는 제안서를 통해 분석 제1단계의 목적은 Y의 타당성을 판단하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는 지금 그 작업을 마쳤다
질문: (우리는 무엇을 알아 냈는가?)
논리적으로 추론하기
연역법은 일반적인 원리에서 구체적인 사실이나 명제를 이끌어 낸다.
귀납법은 구체적인 사실에서 일반적인 명제나 법칙을 이끌어 낸다.
+ 핵심단계에서는 귀납법이 바람직하다.
연역적인 생각의 경우 두번째 포인트가 항상 첫번째 포인트의 주부나 술부에 대해 언급해야한다.
귀납법 그루핑인 경우 두번째 포인트를 첫번째 포인트와 동일한 복수명사로 분류할 수 있어야 한다.
논리적 순서
- 시간의 순서: 자신의 생각을 기술 할 때 프로세스를 시각화
결과 = 1원인, 2원인, 3원인 ..
- 구조의 순서: 자신의 생각을 기술 할 때 구조를 언급
XYZ사= A부서, B부서, C부서 (MECE방식)
- 정도의 순서: 자신의 생각을 기술 할 때 분류를 한다면
문제군= 세 가지 문제, 그 외의 문제
생각의 유사성 찾기
- 각 생각은 모두 동일한 주제에 대해 기술 하고 있다.
- 각 생각은 모두 동일한 활동을 필요로 한다.
- 각 생각은 모두 동일한 대상에 대한 행동을 기술 하고 있다.
- 각 생각은 모두 동일한 통찰 결과를 의미하고 있다.
행동 생각의 리스트 만들기
- 각 포인트를 좁혀나가면서 가장 유사한 키워드로 그루핑 한다.
- 각 그룹 레벨의 차이를 밝힌다.
- 각 포인트는 최종 결과를 이미지화 할 수 있도록 표현한다.
- 행동군을 실행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결과를 기술 한다.
상황 생각의 리스트 만들기
- 주제, 구체적인 상황(술어), 목적(목적어), 의미의 유사점을 찾는다.
- 각 포인트를 되도록 좁은 범주로 그루핑 한다.
- 그 그루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추론) 기술 한다.
문제를 정의 하라 - 문제 정의 프레임워크
문제 정의 하기
1.문제가 있는가?
2.문제는 어디에 있는가?
분석 구성하기
3.왜 문제가 있는가?
해결책 찾기
4.문제에 대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5.문제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문제는 지금까지의 상황에서 발생한다
상황 |
R1 |
R2 |
현재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상황=출발점,시작상황+방해되는 사건) |
현재 원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
대신 무엇을 원하는가? |
위 표를 기준으로 도입부에 정의된 내용을 왼쪽에서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읽어 내려간다.
문서 분석의 프로세스
데이터 수집 -> 조사결과의 기술 -> 결론 도출 -> 행동제안
문제 해결 패턴 비교
기본프로세스 |
분석적 문제해결 |
과학적 문제 해결 |
1.문제는 무엇인가? |
현재의 결과와 바라는 결과와의 차이를 시각화 한다 |
이론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결과와 현실적으로 얻은 결과와의 불일치를 명확하게 밝힌다. |
2.문제가 어디에 있는가? |
결과를 만들고 있는 현재 상황을 구성하는 요소를 시각화 한다. |
불일치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기존 이론상의 가설을 기술한다. |
3.왜 문제가 있는가? |
각기의 요소를 분석해서 왜 그것이 문제를 일으키는지를 명확히 밝힌다. |
그 불일치를 없애고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대안의 구조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
4.문제에 대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변경안을 논리적인 체계를 세워서 적어 본다. |
부적절한 가설을 없애기 위한 실험을 실시한다. |
5. 문제에 대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
가장 만족스러운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변경안을 통합해서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 낸다. |
실험으로부터 얻은 결과를 기초로 해서 논리를 재구축한다. |